작품소개글 - 박주영 (미술경영)

1. <휴가(休家)>(2012): 157x130, 장지에 먹과 채색
<휴가>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립주택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일상적 공간과 상상적 공간을 결합시켜 재구성한 회화이다. 두 폭으로 구성된 화면에는 각각 다르지만 비슷한 형태의 연립주택의 정면도가 세필로 묘사되어 있다. 한 쪽의 연립주택 창문 너머에는 폭포가 흐르고, 그 물줄기는 건물을 뚫고 밖으로 흘러내린다. 풍경 안의 그네는 누군가 방금 타다 만 듯 흔들리고 있으며, 성별을 알 수 없는 나신의 인물이 계단을 올라 풍경 안으로 향하고 있다. 또 다른 연립주택 안에도 폭포가 흐르고 있으며, 폭포를 따라 생긴 물줄기를 따라가다 보면 이를 건널 수 있는 다리와 홀로 떠 있는 빈 배를 발견한다. 옥상에 가까운 층계에는 삿갓으로 얼굴을 가린, 성별조차 모호한 나체의 인물이 풍경과 조금 떨어져 창문에 기대어 서 있다. 작가는 <휴가>를 통해 현실로부터의 일탈과 유희에 대한 욕망과 상상을 관객과 공유하고자 한다.
 
2. <빈 배 가득 밝은 달만>(2014): 130 x 320 cm, 장지에 먹과 채색
<빈 배 가득 밝은 달만>은 본래 병풍의 용도로 구상된 4폭의 회화이다. 화면의 중앙을 가득 채우고 있는 호수에는 삿갓을 쓴 정체불명의 인물이 배를 타고 양손으로 그물을 꽉 붙잡고 있다. 그러나 한껏 불룩해진 그물 안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그 끝부분은 터져 구멍이 나있다. 호수의 주변을 둘러싼 나무들과 바위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면 닿을 수 있을 듯 보이는 빈 정자 하나가 정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제목인 <빈 배 가득 밝은 달만>이라는 화제(畵題)는 중국 송나라 선불교의 선시(禪詩)로 유명한 야부도천(冶父道川)의 게송(偈頌: 불교교리를 담은 한시의 형태) 중 한 구절로, 이후 조선시대 월산대군에 의해 각색되어 잘 알려진 구절이다. 원래의 시조가 가을 강의 밤경치와 달빛 아래 낚싯대를 드리우며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삶, 물심일여(物心一如),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정신을 표현하였다면, 작가는 이러한 전통적 주제에 무언가를 갈망하지만 결국 아무것도 구하지 못한 익명의 인물을 통하여 인생무상(人生無常), 남가일몽(南柯一夢)의 현실적 허무주의를 양가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3. <심경(心景)>(2017): 324 x 227 cm, 장지에 먹과 채색,
서울 드래곤시티 그랜드 머큐어 호텔 소장
<심경>의 공간은 실제 존재하는 장소와 시간이 아닌 생각의 궤적을 그려나간 비현실적 공간이다. 두 개의 대형 화폭으로 구성된 각각의 공간은 연결되지 않으며, 유사한 반복적 형태들을 공유할 뿐 서로 다른 공간으로 존재한다. 이 두 공간 모두에서 가늘게 흐르다 고이고 또 다시 흘러내리는 물의 흐름이 관객의 시선을 유도한다. 이러한 물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정자에 앉아 얼굴을 가리고 있는 인물, 막 물로 뛰어든 인물, 책과 커피 잔만이 덩그러니 놓여 있는 빈 정자, 낚싯대를 드리운 인물, 어딘가 지팡이를 짚고 계단을 열심히 올라가고 있는 인물, 테이크아웃 잔을 내려두고 다리에 앉아 풍경을 감상하는 인물 등을 마주치게 된다. 하나하나 섬세하게 묘사된 나무들은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관객의 시야를 적절히 가로막는다. 작가는 반복해서 그려나가는 행위를 통해서 상념들을 비워내고 덜어가며 화폭 안에 생각하고 유희한다는 의미의 사유(思遊)의 공간을 창조해낸다. 또한 이러한 사유(思遊)의 공간 속 익명의 인물들은 관객의 감정이입의 매개체로 작동하며, 작가의 사유(思遊)의 과정에 동참하도록 이끈다


1. <House in Rest: 休家> (2012): each 157 x 130cm, ink and color on paper
<House in Rest: 休家> is a painting restructed by combining spaces of daily life and imagination with taking a subject easily seen in cityscapes, townhouses. In a canvas screen composed with two diptychs, each different but similar shape of townhouse’s façades is depicted in slender brush strokes. Over one townhouse’s window, there is a fall pouring down and the water flows through the building to outside. On the swing in the scene seems still winging as if someone just got off, and an unidentifiable figure in nude is climbing stairs into the scene outside the window. There is a waterfall running down in the other townhouse and by following the stream of the fall one can find a bridge that crosses over the stream and an empty boat. On the stairs near a rooftop a nude figure hard to tell the sex is leaning against a window apart from the scene. Through <House in Rest: 休家>, the artist wishes to share with audience the desire and imagination about pleasure and deviation from reality

2. < Boatful of Only Bright Moon > (2014): 130 x 320cm, ink and color on paper
<Boatful of Only Bright Moon> is a painting of four diptychs supposedly used for a folding screen. In a lake that fills the center of a canvas, an unidentifiable figure with a satgat (a traditional hat made of bamboo) is riding on a boat and grabbing a net with two hands. However, there’s nothing in the net, and there’s even a hole in one corner. An empty gazebo at the end of a road between rocks and tree surrounding the lake raises static atmosphere. The title <Boatful of Only Bright Moon> is a phrase from a Gaesong (偈頌: a form of Chinese poem with religious doctrine of Buddhism) of Yabudocheon (冶父道川), well-known as Zen Poem of Zen Buddhism in the Chinese Song Dynasty. It became known to Korean after the prince Wolsan in the Joseon Dynasty adapted the poem. The original poem expresses the spirit of human and nature becoming as one, and living an easy life by casting a fishing pole under the autumn night’s moon light. With this traditional subject, the artist reveals nihilism in vanity of life, fleeting glory through the anonymous figure in the painting who desires but achieves nothing.

3. <Mindscape: 心景> (2017): each 324 x 227cm, ink and color on paper
Unlike the existing space and time, the space of <Mindscape: 心景> is unrealistic space made from the trace of thinking. Each space composed with two large canvases is not connected, only share similar form of repetition but exist as two different spaces. The flow of water that runs thin and makes a pool then runs again in both two spaces leads perspective of audiences. When following the flow of water, one can reach to a figure sitting in a gazebo with a face covered, a figure just jumped to water, an empty gazebo with a book and a cup of coffee, a figure casting a fishing pole, a figure climbing stairs with a cane in hand, and a figure with a cup of coffee appreciating scenery from a bridge. Each tree vividly described is appeared repeatedly to intercept audiences’ sight to a proper level. The artist creates a space of “Sayu(思遊)” which means to take leisure in thinking on the canvas by emptying thoughts through the act of repeated painting. The anonymous figures in this space of leisure in thinking work as a vehicle of audience’s empathy, and lead them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the artist’s leisure in thinking.